![]() |
그림 43 보리 건조-라프로익 증류소 |
![]() |
그림 44 보리 |
수세기 전부터 위스키 제조는 사계절과 밀접하게 묶여져 있다. 작업은 추운 겨울 몇 달 동안 이루어졌는데, 그 때가 생효모를 취급하고 쉽고, 보리는 그렇게 빨리 발아되지 않았다. 여름이 찾아와 기온이 올라가면 위스키 제조업자들은 증류기를 정리하고, 농사 또는 어업으로 돌아갔다.
![]() |
그림 45 몰팅 마루, 라프로익 증류소 |
4~5일 후, 맥아당과 디아스타제라는 효소를 얻기 위하여 발아 공정을 멈춘다. 디아스타제는 전분을 분해한다. 만약에 씨앗이 너무 자라도록 내 버려두면, 보리 주요 줄기가 나오기 시작하고, 그러면 증류는 망쳐 버린다.
이 공정은 가마에서 이루어진다. 가마에서 그린몰트는 철망에 펼쳐지고, 피트 불 위에서 건조된다. 향기로운 피트 연기가 보리 속으로 스며들면서, 건조 중인 몰트는 위스키에 다양한 개성을 부여하는데 일조하는 그 독특한 풍미를 흡수한다.
![]() |
그림 46 가마에서 피트 때기, 라프로익 증류소 |
“사람들이 위스키를 피트향이 강한, 중간, 또는 약한 것 등으로 분류할 때, 모든 아일레이 몰트 위스키는 강한 몰트향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오해합니다. 라프로익은 몰트향이 강한 아일레이 몰트 위스키입니다만, 아일레이 몰트 위스키에는 피트향이 중간, 약한 것도 있습니다.” 발렌타인 마스트 블렌더 로버트 힉스는 말한다.
![]() |
그림 47스트라스아일라 (Strathisla)증류소 |
“아득하게 보이는 탑은 단순한 화강암 또는 하얀색으로 회칠한 건물에 예기치 않은 황금 왕관을 씌운 듯합니다. 그것은 교회 첨탑처럼 두드러져 보입니다…그 건물은 이렇게 말을 하는 듯합니다.. 이곳은 매우 특별한 장소입니다… 너무 신성하며, 오래된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고 위스키 작가이며 위스키 전문가이기도 한 제임스 다웬은 표현하였다.161)
![]() |
그림 48 글렌드로낙 증류소 |
———————————————–
제목
|
출처
|
작자
|
||
그림
|
43
|
라프로익 증류소 보리 건조
|
발렌타인사
|
|
그림
|
44
|
보리 모습
|
wikipedia.org
|
CSvBibra
|
그림
|
45
|
몰팅 마루, 라프로익 증류소
|
발렌타인사
|
|
그림
|
46
|
가마에서 피트 때기, 라프로익 증류소
|
발렌타인사
|
|
그림
|
47
|
스트라스아일라 증류소
|
geograph.org.uk
|
Colin Smith
|
그림
|
48
|
글렌드로낙 증류소
|
발렌타인사
|